자본주의 주식36 ROE 자기자본이익률 (return on equity) 자기 자본 이익률(ROE) = 당기순이익 / 평균 자기 자본 (%) 기업이 자기 자본(주주 지분)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.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. ROE가 10%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 ROE가 20%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 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.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. 일반적으로 ROE가 회사채 수익률보다 높으면 양호한 것으로 평가.. 2020. 5. 16. 이전 1 ··· 33 34 35 36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