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자산과 자본과 부채는 한 눈에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.
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자산=부채+자본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.
이를 확인함으로서 기업의 자본잠식이나 부채율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재무상태표
자산 = 부채 + 자본
1. 자산 : 회사가 가진 모든 재산
- 유동자산 : 1년 이내 현금화 가능한 자산
재고자산 확인 (증가 추세인지 감소 추세인지 확인해봅시다)
- 비유동자산 : 1년 이내 현금화 불가능한 자산
유형자산 : 형태 O (예, 토지, 건물, 기계 등)
무형자산 : 형태 X ( 소프트웨어, 특허권 등)
2. 부재 : 회사의 빚
- 유동부채 : 1년 이내 상환해야 하는 부채
- 비유동부채 : 1년 이후 상환해야 하는 부채
POINT : 부채를 적당이 써서 성장성에 사용하면 나쁘지 않다. 100% 정도면 무난하다고 시장이 판단합니다.
3. 자본 : 빚 없이 조달한 금액 ( 자본총계 = 자본금 + 이익잉여금 )
- 자본금 : 기업이 주식을 발행해서 조달한 자금 ( 발행주식수 X 액면가 )
- 이익잉여금 : 영업이익 가운데 배당금 지급 후 회사에 쌓아둔 자금
POINT : 이익잉여금이 많으면 무상증자나 배당금을 많이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 ( 총 자본대비 50% 이상이면 Good )
무상증자는 이익잉여금으로만 처리할 수 있으며 무상으로 나눠준 주식의 금액만큼 이익잉여금이 줄어들고 딱 그만큼 자본금이 늘어나기기 때문에 자본금의 총액에는 변함이 없습니다.
핵심 POINT!!
자본 지표를 확인함으로서 자본잠식을 걸러낼 수 있습니다.
자본 잠식은 부분잠식과 완전잠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부분잠식 : 이익잉여금 < 0 , 자본총계 < 자본금 , 0 < 자본
이익잉여금이 마이너스가 되지만 자본금이 아직 마이너스는 아닌 상태입니다.
자본잠식률 50% 이상이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면 2년 이상 지속시 상장폐지 사유가 됩니다.
우리가 가장 눈여겨 볼 부분은 부채와 자본입니다. 어차피 자산은 두 항목의 합이기 때문입니다.
부채에서 가장 눈여겨 볼 부분은 부채 비율이 100%가 넘어가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.
자본 항목이 가장 중요합니다. 해당 기업이 자본 잠식이 진행중인지 이익잉여금으로 무상증자의 가능성과 배당이 늘어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.
또한 모든 부분에 해당하는 이야기지만 전년 대비 쭉 이어오는 흐름을 잘 봐야합니다.
[자본주의 주식] - 재무제표 보는 법 손익계산서는 보고 투자합시다 1부
재무제표 보는 법 손익계산서는 보고 투자합시다 1부
손익계산서를 봐야 기업이 돈을 벌고 있는지 못 벌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. 손익계산서를 기업의 가치를 알아보는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. PER 10인 기업이 1년 이익이 500억이라면 이 기업의 ��
capitalism-study.tistory.com
[자본주의 주식] - 사업보고서 보는 법 1편 사업의 내용
사업보고서 보는 법 1편 사업의 내용
의외로 많은 투자자들이 사업보고서를 보지 않고 투자한다도 합니다. 저 또한 그런 시절이 있었습니다. 사업보고 서하면 왠지 복잡하고 너무 길고 봐도 모르겠고 그런 생각이 먼저 드는 게 사실
capitalism-study.tistory.com
주식 종목을 찾는 방법
일반적으로 초보들 주식을 매매하는 방법 4가지 1. 따라 사기 방법 좋은 방법이기는 하나 무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무작정 신뢰하는 경우가 많다 어두운 면이 리스크적 요소를 과소평가할 수 ��
capitalism-study.tistory.com
'자본주의 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무제표 보는 법 투자지표는 보고 투자합시다 4부 (4) | 2020.06.30 |
---|---|
재무제표 보는 법 재무비율은 보고 투자합시다 3부 (0) | 2020.06.28 |
개인 전문투자자를 등록하면 공매도가 가능하다. (2) | 2020.06.26 |
재무제표 보는 법 손익계산서는 보고 투자합시다 1부 (10) | 2020.06.25 |
클라우드 산업 IaaS PaaS SaaS과 Public, Private, hybrid (2) | 2020.06.24 |